간접금융
간접금융은 은행과 같은 금융기관을 통해 자금을 공급하는 사람과 자금을 빌리는 사람을 중개하는 금융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A라는 사람이 은행에 예금을 하면, 은행은 그 돈을 B라는 사람에게 대출해줍니다. A는 은행에 돈을 맡기고, 은행은 B에게 돈을 빌려주면서 이자를 받습니다. A는 이자를 받기 때문에, B는 돈을 빌릴 수 있습니다.
간접금융은 자금을 공급하는 사람과 자금을 빌리는 사람을 직접 만나지 않고 금융기관을 통해 거래를 한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이로 인해 자금을 공급하는 사람과 자금을 빌리는 사람 모두에게 편리하고 안전한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간접금융에는 다양한 금융상품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간접금융상품으로는 예금, 대출, 보험, 투자상품 등이 있습니다.
예금
자금을 공급하는 사람이 금융기관에 돈을 맡기고, 금융기관은 이자를 지급하는 금융상품입니다.
대출
자금을 빌리는 사람이 금융기관으로부터 돈을 빌리고, 일정 기간 동안 이자를 지급하는 금융상품입니다.
보험
자금을 공급하는 사람이 보험회사에 돈을 내고, 보험사고가 발생하면 보험회사가 보험금을 지급하는 금융상
품입니다.
투자상품
자금을 공급하는 사람이 금융기관에 돈을 투자하고, 투자상품의 수익을 얻는 금융상품입니다.
간접금융은 자금을 공급하는 사람과 자금을 빌리는 사람 모두에게 편리하고 안전한 거래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중요한 금융제도입니다.
직접금융
직접금융은 자금이 필요한 기업이나 개인이 직접 자금을 조달하는 것을 말합니다. 직접금융은 간접금융과는 달리 금융기관을 거치지 않고 자금을 조달하기 때문에, 자금 조달에 대한 비용이 적습니다.
직접금융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주식 발행, 채권 발행, 사모펀드 등이 있습니다.
주식 발행은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주식을 발행하는 것입니다. 주식을 구입한 투자자는 기업의 주주가 되고, 기업의 이익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채권 발행은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채권을 발행하는 것입니다. 채권을 구입한 투자자는 기업에 돈을 빌려주고, 일정 기간 동안 이자를 받습니다.
사모펀드는 특정 투자자가 모여서 자금을 모아 투자하는 것입니다. 사모펀드는 주식, 채권, 부동산, 기업 인수 등에 투자할 수 있습니다.
직접금융은 간접금융보다 자금 조달에 대한 비용이 적지만, 위험이 높습니다. 직접금융을 할 때는 투자의 위험을 충분히 이해하고 투자해야 합니다.
'경제금융용어 700'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금융용어 700선 - 감족자협의회, 감응도계수, 갑기금 (0) | 2023.08.17 |
---|---|
경제금융용어 700선 - 간접세, 직접세 (0) | 2023.08.17 |
경제금융용어 700선 - 가산금리, 가상통화, 가상통화공개 (0) | 2023.08.16 |
경제금융용어 700선 - 가변예치의무제도 (0) | 2023.08.16 |
경제금융용어 700선 - 가동률 (0) | 2023.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