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용어 700선 - 골디락스경제, 공재시장운영, 공공재
본문 바로가기
경제금융용어 700

경제금융용어 700선 - 골디락스경제, 공재시장운영, 공공재

by mement0mori 2023. 8. 22.

ai_골디락스
ai 이미지

- 골디락스 경제 -

골디락스 경제는 경제가 뜨겁지도 차갑지도 않은 이상적인 상태를 말합니다. 골디락스는 영국의 동화에서 나온 금발 소녀의 이름인데요, 이 소녀는 곰 세 마리가 사는 집에 들어갔다가 너무 뜨거운 곰의 수프와 너무 차가운 곰의 수프 대신 적당히 따뜻한 곰의 수프를 먹고 기뻐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했습니다.

 

경제에서 골디락스 경제는 경제가 성장하고 있지만 물가가 안정적인 상태를 말합니다. 경제가 성장하면 실업률이 낮아지고, 기업의 이익이 증가합니다. 또한, 소비자의 소득이 증가하여 소비가 증가합니다. 소비가 증가하면 기업의 매출이 증가하고, 이는 다시 기업의 투자를 증가시킵니다. 이렇게 경제가 선순환을 이루면 경제가 골디락스 상태에 있다고 말합니다.

 

하지만, 골디락스 경제는 항상 지속되는 것은 아닙니다. 경제가 너무 뜨겁게 성장하면 물가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 물가가 상승하면 소비자의 구매력이 감소하고, 이는 다시 경제 성장을 둔화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경제가 너무 차갑게 성장하면 실업률이 증가하고, 이는 다시 경제 성장을 둔화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부는 경제가 골디락스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적절한 정책을 시행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정부는 경기가 과열되지 않도록 금리를 인상할 수 있고, 경기가 침체되지 않도록 재정을 투입할 수 있습니다.

ai_공개시장운영
ai 이미지

- 공개시장운영 -

공개시장운영(OMO: Open Market Operation)은 중앙은행이 채권을 매매하여 통화량을 조절하는 정책을 말합니다. 중앙은행은 채권을 매입하면 통화량을 증가시키고, 채권을 매도하면 통화량을 감소시킵니다.

 

통화량은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통화량이 증가하면 경기가 활성화되고, 통화량이 감소하면 경기가 침체됩니다. 따라서 중앙은행은 경기를 안정시키기 위해 공개시장운영을 시행합니다.

 

예를 들어, 경기가 침체되면 중앙은행은 채권을 매입하여 통화량을 증가시킵니다. 이로 인해 시중에는 돈이 풀리게 되고, 기업과 개인은 투자와 소비를 늘리게 됩니다. 이렇게 경기가 활성화됩니다.

 

반대로, 경기가 과열되면 중앙은행은 채권을 매도하여 통화량을 감소시킵니다. 이로 인해 시중의 돈이 줄어들게 되고, 기업과 개인은 투자와 소비를 줄이게 됩니다. 이렇게 경기가 둔화됩니다.

 

공개시장운영은 중앙은행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통화정책 중 하나입니다. 중앙은행은 공개시장운영을 통해 경기를 안정시키고, 물가를 관리합니다.

 

ai_공공재
ai 이미지

- 공공재 -

공공재란 한 번 생산되면 누구나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재화입니다. 공공재는 비경합성과 비배제성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비경합성이란 한 사람이 공공재를 이용하더라도 다른 사람이 이용할 수 있는 기회가 줄어들지 않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공기가 공공재입니다. 공기는 한 사람이 사용하더라도 다른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기회가 줄어들지 않습니다.

 

비배제성이란 공공재를 이용하는 것을 막을 수 없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국방은 공공재입니다. 국방은 한 사람이 이용하더라도 다른 사람이 이용할 수 없도록 막을 수 없습니다.

 

공공재는 시장에서 거래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왜냐하면 공공재는 비경합성과 비배제성의 특징 때문에 가격을 책정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또한, 공공재는 누군가 한 사람이 이용하지 않더라도 다른 사람이 이용할 수 있으므로, 이용하지 않는 사람에게 비용을 부과하기 어렵습니다.

 

공공재는 정부가 제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왜냐하면 정부는 국민의 이익을 위해 공공재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정부는 세금을 통해 공공재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을 부담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