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43 Page)
경제금융용어 700선 - 고용보조지표, 고용유발효과, 고정금리
- 고용보조지표 - 고용보조지표는 실업률만으로 나타낼 수 없는 고용시장의 상황을 좀 더 자세하게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고용보조지표는 실업률, 취업률, 경제활동참가율, 시간제근로자 비율, 장시간근로자 비율, 고용보조지표1, 고용보조지표2, 고용보조지표3 등으로 구성됩니다. 고용보조지표는 실업률보다 고용시장의 상황을 좀 더 자세하게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정부의 정책 수립이나 기업의 투자 결정에 중요한 지표로 사용됩니다. 실업률 경제활동인구 중에서 일자리를 구할 수 없고, 구직활동을 하는 사람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취업률 경제활동인구 중에서 일자리를 가진 사람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경제활동참가율 전체 인구 중에서 경제활동인구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시간제근로자 비율 전체 취업자 중에서 시간제근로자의 비율을 ..
2023. 8. 21.
경제금융용어 700선 - 경제심리지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경제활동인구,비경제활동인구, 경제활동참가율
- 경제심리지수 - 경제심리지수는 사람들이 경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경제심리지수는 사람들이 경제가 어떻게 될지, 소비를 늘릴지, 투자를 할지, 일자리를 찾을지 등에 대한 생각을 반영합니다. 경제심리지수는 경제의 미래를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여러 가지 요소를 종합해서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기업의 경기 전망, 소비자의 소비 전망, 투자자 수, 일자리 수 등을 종합해서 계산합니다. 경제심리지수는 0~100 사이의 숫자로 나타내는데, 100에 가까울수록 경제에 대한 사람들이 낙관적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경제의 미래를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되는 중요한 지표이지만, 완벽한 지표는 아닙니다. 경제심리지수는 사람들의 생각을 반영하기 때문에, 사람들이 잘못된 정보를..
2023. 8. 18.
경제금융용어 700선 - 경기종합지수, 경상수지, 경영실태평가
- 경기종합지수 - 경기종합지수는 경제가 잘 돌아가고 있는지 안 돌아가고 있는지 알려주는 지표입니다. 경기가 잘 돌아가면 경기종합지수는 올라가고, 경기가 안 돌아가면 경기종합지수는 내려갑니다. 여러 가지 경제지표를 종합해서 만들어집니다. 예를 들어, 생산, 소비, 투자, 고용, 물가, 수출, 수입 등입니다. 경기종합지수는 이 지표들의 변화를 종합해서 경제가 어떻게 돌아가고 있는지 보여줍니다. 정부와 기업, 개인이 경제를 예측하고 의사결정을 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정부는 경기종합지수를 보고 경기를 부양하기 위한 정책을 펴거나, 경기를 안정시키기 위한 정책을 펴는 데 도움을 얻습니다. 기업은 경기종합지수를 보고 투자를 할지 말지, 고용을 늘릴지 말지, 가격을 올릴지 말지 등을 결정하는 데 도움을 얻습니다. ..
2023. 8. 18.
경제금융용어 700선 - 경기동향지수, 경기순응성,경기조정절정책
- 경기동향지수 - 경기동향지수는 경기가 좋아지고 있는지, 나빠지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 사용되는 지표입니다. 경기동향지수는 경기를 나타내는 여러 가지 지표를 종합하여 산출합니다. 경기를 나타내는 지표로는 생산, 소비, 투자, 수출, 수입 등이 있습니다. 경기동향지수는 이러한 지표들 중에서 경기의 변화를 가장 잘 나타내는 지표들을 선택하여 산출합니다. 경기가 좋아지고 있으면 100을 넘고, 나빠지고 있으면 100 미만입니다. 경기동향지수가 100을 넘으면 경기가 확장국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100 미만이면 경기가 수축국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합니다. 경기를 예측하는 데에도 사용됩니다. 경기동향지수가 증가하면 경기가 좋아질 것으로 예측하고, 경기동향지수가 감소하면 경기가 나빠질 것으로 예측할 수 ..
2023. 8. 17.